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아들 정연씨의 병역비리 의혹과 관련해 일부 언론이 김대업씨 테이프의 신빙성 문제를 부각시키면서 병역비리 의혹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 <조선일보>가 테이프의 제작년도를 두고 조작 가능성을 제기한 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가 연일 테이프의 문제를 거론하면서 마치 병역비리 의혹 자체가 근거없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다. 이 와중에 한나라당은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지는 않은 채 테이프 조작 당사자를 증인으로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조작 의혹을 부풀리고 있다.

김대업씨는 검찰에 두번째로 제출한 테이프가 복사본 두개 중 하나로, 자신은 그것을 원본 테이프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대검 과학수사과는 테이프가 의도적으로 편집된 것은 아니라는 1차 감정결과를 낸 바 있다. 검찰은 김씨의 테이프에만 매달려 수사하는 것이 아니고 계좌추적 결과를 근거로 관련자들을 소환조사하기 시작했다고 밝히고 있다.

실제로 검찰은 김대업씨의 고소로 시작된 수사과정에서 1999년 병역비리 군검합동수사 때 이정연씨의 병역비리를 내사한 자료가 있다는 당시 군 검찰관들의 일치된 진술을 확보했고, 병적기록표에는 작성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도장이 찍힌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 또 정연씨가 병무청 직원들을 만나 병역면제 방법을 상담한 사실도 추가로 밝혀냈다. 결국 김씨의 테이프는 수사의 단서가 됐을 뿐 병역비리 의혹의 본질과는 별개인 데다 테이프의 조작 가능성이 확인된 상태도 아니다.

다만 수사 시작 2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잘못 투성이 병적기록표에 대해 납득할 만한 수사결과물을 내지 못한 것이나, 군 내사자료와 관련해 이명현 중령 등 당시 군 검찰관들과 수사팀장이던 고석 대령의 상반된 주장 가운데 어느쪽이 사실인지 밝혀내지 못한 점 등 검찰 수사에 문제도 있다. 검찰은 다각적인 수사를 통해 한점 의혹이 남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일부 수구언론의 몰아가기식 보도에 휘둘려 수사를 서둘러서도 안된다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
  내용 입력창 크게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처음 이전 다음       목록 홈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