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 “장대환 총리서리는 검증된 언론사 CEO 아니다”  

발행일 : 2002.08.15 [355호 1면]



장대환 전 매일경제 사장이 지난 9일 ‘언론사 경영으로 능력을 입증받은 CEO’라는 이유로 국무총리 서리에 지명됐다.

그러나 언론계 안팎에서는 장총리서리 지명에 대해 “족벌사주나 다름없는 인사를 총리서리로 지명한 것은 잘못이며, 검증된 언론사 CEO도 아니다”라는 지적이다. ▶ 관련기사 4면·7면

장 전 사장이 총리서리로 지명된 지난 9일, 매일경제간부가 “6개월 뒤에 돌아올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은 장총리서리가 임기가 끝난 뒤 매일경제로 복귀할 것임을 암시한 것이어서 김대중 정부가 언론권력에 정치권력까지 보태준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장총리서리의 사장직 사임에 이어 매일경제가 새로운 대표이사 사장을 선출하지 않고 이유상, 이정근 전무 등 두 명의 공동대표이사 체제를 갖춘 것 역시 장총리서리의 복귀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언론계에서는 장총리서리가 매일경제에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비즈니스 마인드’를 강조하며 기자들에게 광고유치, 사업기획, 협찬수주 등을 하도록 한 것은 바람직한 언론사 CEO로서 할 일이 아니었다고 목소리를 모으고 있다.

장총리서리가 사장으로 재직한 기간동안 매일경제가 매출액 증가, 발행부수와 독자 확대 등 양적인 성장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정작 사회적 공기로 기능하는 언론과 언론사 문화 만들기에는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매일경제는 기업들과도 마찰을 빚었고, 광고와 행사유치 과정에 기자들이 개입하는 행태는 언론계 안팎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기자들이 광고유치와 협찬수주 등에 적극 나설 수밖에 없는 문화는 패스21 사건에 매일경제 기자가 가장 많이 연루된 데서 보여지듯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쳤다는 사내외의 평가를 받고 있다. 장총리서리에 대한 비판은 그의 언론관에서 그치지 않는다. 국세청 세무조사 추징금 규모와 내역의 비공개, 친기업적 성향을 비롯해 56억원이나 되는 재산형성 과정에 대해서도 인사청문회에서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지난 99년 IMF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목적으로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유치한 차관 13억 달러(한화 1억4200억원·99년 4월 기준) 가운데 매일경제가 200여억원을 한빛은행으로부터 대출받아 윤전기 구매 등에 사용한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본지 261호 2000년 10월 5일자 1면 참조)

한 신문사 기자는 “한나라당과 언론의 총공세를 받아 장상씨의 인준안이 부결된 뒤 청와대측에서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안다”며 “각 언론사와 한나라당 입장에서 언론사주를 비판하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한 인사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경숙 기자 (ksan@mediaonul.com)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
  내용 입력창 크게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처음 이전 다음       목록 홈 쓰기